김호쭈
DevForYou
김호쭈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21)
    • • 데이터베이스(DB) (9)
      • __SQL__ (9)
    • •알고리즘(Algorithm ) (117)
      • 문제풀이 (99)
      • 스터디 (14)
      • 알고리즘 팁 (4)
    • •Compter Science (57)
      • Operating System (25)
      • Computer Network (1)
      • Computer Vision (16)
      • Artificial Intelligence (14)
      • Software Technology (1)
    • • 독서 (36)
      • Design Pattern (24)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Object Oriented Software En.. (11)
    • • 개발 (26)
      • React (3)
      • node.js (6)
      • Django (11)
      • Spring boot (6)
    • • 개발Tip (4)
      • GitHub (0)
    • •프로젝트 (2)
      • 물물 (2)
    • •App (54)
      • 안드로이드 with Kotlin (50)
      • 코틀린(Kotiln) (4)
    • •회고 (8)
    • •취준일기 (3)
    • • 기타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원격저장소
  • local저장소
  • GitHubDesktop
  • Remote저장소
  • KMU_WINK
  • ㄱ
  • 깃허브데스크탑
  • 로컬저장소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김호쭈

DevForYou

[백준1504&파이썬] 다익스트라에서 특정정점을 무조건 방문해야할때, 다익스트라는 시작정점으로부터 최단경로를 보장한다.
•알고리즘(Algorithm )/문제풀이

[백준1504&파이썬] 다익스트라에서 특정정점을 무조건 방문해야할때, 다익스트라는 시작정점으로부터 최단경로를 보장한다.

2023. 4. 22. 00:00

# 문제

백준 1504 파이썬 특정한 최단 경로 풀이

 

1504번: 특정한 최단 경로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 (2 ≤ N ≤ 800, 0 ≤ E ≤ 200,000) 둘째 줄부터 E개의 줄에 걸쳐서 세 개의 정수 a, b, c가 주어지는데, a번 정점에서 b번 정점까지 양방향 길이 존

www.acmicpc.net

# 코드

'''
  - 임의로 주어진 두 정점을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 한번 이동했던 정점과 간선도 다시 이용할 수 있다.
  - 1번 정점부터 N번 정점으로 이동한다.
'''
import sys
from heapq import *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N, E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N : 정점의 개수 , E : 간선의 개수
graph = defaultdict(list)
for _ in range(E):
  a, b, c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무방향 그래프
  graph[a].append((b, c))
  graph[b].append((a, c))

v1, v2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두개의 정점을 무조건 지나면서 최단 경로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 1 -> v1 -> v2 -> N
# 1 -> v2 -> v1 -> N
def dijkstra(start, end):
  heap = list()
  distance = [float('inf')] * (N + 1)
  distance[start] = 0
  heappush(heap, (0, start))

  while len(heap) != 0:
    cur = heappop(heap)  # (sum_weight, vertex )

    if distance[cur[1]] < cur[0]:
      continue

    for next in graph[cur[1]]:  # ( vertex, weight )
      cost = distance[cur[1]] + next[1]
      if cost < distance[next[0]]:
        distance[next[0]] = cost
        heappush(heap, (cost, next[0]))

  return distance[end]


# print(f"(v1, v2) : ({v1},{v2})")
result = min(dijkstra(1, v1) + dijkstra(v1, v2) + dijkstra(v2, N), dijkstra(1, v2) + dijkstra(v2, v1) + dijkstra(v1, N))
if result == float('inf'):
  print(-1)
else:
  print(result)

 

# 풀이

result = min(dijkstra(1, v1) + dijkstra(v1, v2) + dijkstra(v2, N), dijkstra(1, v2) + dijkstra(v2, v1) + dijkstra(v1, N))
if result == float('inf'):
  print(-1)
else:
  print(result)
  • 결론적으로, 1 -> v1 -> v2 -> N 또는 1 -> v2 -> v1 -> N 두개의 경로중 가장 작은걸 반환 시키면 된다.
  • 내가 고민했던건 [ 1 -> v1 ->v2 -> N ]의 경로에서 1->v1 의 경로가 v2를 거치는걸 어떻게 확인하는지 였다. 그러나 만약 v2를 거쳤다면, 해당 경로가 선택 되는 것이 아닌 [1 -> v2 -> v1 -> N ]가 최종 선택 되기 때문에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 https://www.acmicpc.net/board/view/99286 해당 질문과 같은 비슷한 고민을 했는데 이 고민 역시 바로 위 해결책과 동일하다. 결국 다익스트라는 시작경로에서부터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거리가 구해진다.
  • float('inf') + 1 도 INF 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건문에서 검사할때 result == float('inf')로 하면 된다. float('inf') -1도 마찬가지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알고리즘(Algorithm )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162&파이썬] 다익스트라에서 distance를 여러가지로 갈래로 분리시켜야 할때  (1) 2023.04.23
[백준17835&파이썬] 다익스트라로 역방향 그래프 만들어 특정노드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 구해 확정하기  (0) 2023.04.23
[백준1261&파이썬] 가중치가 0과1뿐일때는 다익스트라 또는 0-1BFS를 활용할 수 있다.  (3) 2023.04.21
[백준1238&파이썬] 다익스트라를 여러번 사용해서 최장 경로를 얻어보자  (0) 2023.04.20
[백준11779&파이썬] 다익스트라에서 경로 추적이 필요할땐 route배열을 만들어 활용하자  (0) 2023.04.20
    '•알고리즘(Algorithm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1162&파이썬] 다익스트라에서 distance를 여러가지로 갈래로 분리시켜야 할때
    • [백준17835&파이썬] 다익스트라로 역방향 그래프 만들어 특정노드들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 구해 확정하기
    • [백준1261&파이썬] 가중치가 0과1뿐일때는 다익스트라 또는 0-1BFS를 활용할 수 있다.
    • [백준1238&파이썬] 다익스트라를 여러번 사용해서 최장 경로를 얻어보자
    김호쭈
    김호쭈
    공부하고 정리하고 기록하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