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쭈
DevForYou
김호쭈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21)
    • • 데이터베이스(DB) (9)
      • __SQL__ (9)
    • •알고리즘(Algorithm ) (117)
      • 문제풀이 (99)
      • 스터디 (14)
      • 알고리즘 팁 (4)
    • •Compter Science (57)
      • Operating System (25)
      • Computer Network (1)
      • Computer Vision (16)
      • Artificial Intelligence (14)
      • Software Technology (1)
    • • 독서 (36)
      • Design Pattern (24)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
      • Object Oriented Software En.. (11)
    • • 개발 (26)
      • React (3)
      • node.js (6)
      • Django (11)
      • Spring boot (6)
    • • 개발Tip (4)
      • GitHub (0)
    • •프로젝트 (2)
      • 물물 (2)
    • •App (54)
      • 안드로이드 with Kotlin (50)
      • 코틀린(Kotiln) (4)
    • •회고 (8)
    • •취준일기 (3)
    • • 기타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GitHubDesktop
  • 원격저장소
  • KMU_WINK
  • 깃허브데스크탑
  • ㄱ
  • 로컬저장소
  • local저장소
  • Remote저장소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김호쭈

DevForYou

•알고리즘(Algorithm )/문제풀이

[백준1967&파이썬] 트리의 지름을 다익스트라를 이용해 구하자

2023. 5. 25. 01:10

# 문제

백준 1967 트리의 지름 파이썬 풀이

 

1967번: 트리의 지름

파일의 첫 번째 줄은 노드의 개수 n(1 ≤ n ≤ 10,000)이다. 둘째 줄부터 n-1개의 줄에 각 간선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 간선에 대한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정수는 간선이 연

www.acmicpc.net

#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from heapq import *


def print2D(arr) :
  for i in arr :
    print(*i)

# 노드의 개수
n = int(sys.stdin.readline().strip())
trees = defaultdict(list)

distance = [0] * (n+1)
visit = [-1] * (n+1)
for _ in range(n-1) :
  a,b,c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 양방향 연결
  trees[a].append((b,c))
  trees[b].append((a,c))

# 다익스트라로 1번노드에서 가장 먼 정점을 구한다.
# 그정점에서 다시 다익스트라를 사용해서 가장 거리가 먼곳을 구한다
# 근데 이건 BFS써도 될거 같은데 난 다익스트라 까먹어서 다익스트라로 풀어보겠다.

def dijkstra(start) :
  global n
  h = list()
  distance = [float('inf')] * (n+1)
  distance[start] = 0 # 시작점에서 시작점으로 출발하는 경우는 0
  heappush(h,(0,start))

  while len(h) != 0 :
    cur_cost, cur_node = heappop(h) # ( cost, node )
    for next_node, next_cost in trees[cur_node] :
      updated_cost = cur_cost + next_cost
      if updated_cost < distance[next_node] :
        distance[next_node] = updated_cost
        heappush(h,(updated_cost,next_node))

  return distance

start_distance = dijkstra(1)
print(max(dijkstra(start_distance.index(max(start_distance[1:])))[1:]))

# 풀이

다익스트라 안쓴지 오래되서 다익스트라로 풀었다. 근데 BFS나 DFS로 풀어도 상관 없다.

일단 시작노드(1)에서 가장 멀리있는 노드를 구한다.

가장 멀리 있는 노드가 구해지면 그 노드는 트리의 지름의 한 끝점이 된다.

그러면 한 끝점을 찾았으니까 그점에서 다익스트라 돌려서 가장 먼 곳을 구하여 지름을 구한다.

결국 이 문제의 핵심은 트리의 leaf를 구할 수 있으면 된다. 위 풀이처럼이 아니더라도 leaf노드 구한다음에 leaf노드로 다익스트라 돌려서 최대값 찾으면 될거 같다. ( 시간초과 날 수도 있을거 같긴 하다)

결국 리프노드에서 리프노드까지 가는게 무조건 최장거리이기 때문이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알고리즘(Algorithm )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1660&파이썬] 누적합을 구하는 기본문제  (0) 2023.05.26
[백준1167&파이썬] 트리의 지름을 BFS를 사용해 구하자. 트리는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  (0) 2023.05.25
[백준1629&파이썬] 파이썬을 이용해 빠른 거듭제곱 구하기, Fast Computing Power  (0) 2023.05.23
[백준17144&파이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원소 회전하기 , 탐색 후 일괄업데이트  (0) 2023.05.20
[백준14502&파이썬] 조합과 BFS탐색을 적절히 활용하는 구현문제에서는 시작점에 대한 고민을 해보자  (1) 2023.05.20
    '•알고리즘(Algorithm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11660&파이썬] 누적합을 구하는 기본문제
    • [백준1167&파이썬] 트리의 지름을 BFS를 사용해 구하자. 트리는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
    • [백준1629&파이썬] 파이썬을 이용해 빠른 거듭제곱 구하기, Fast Computing Power
    • [백준17144&파이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원소 회전하기 , 탐색 후 일괄업데이트
    김호쭈
    김호쭈
    공부하고 정리하고 기록하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