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단
[백준 10250번 - ACM호텔]
위 문제를 파이썬을 활용해서 풀고 있었다. 아주 옛날에 C++를 이용해서 풀었던 기억이 있다. 문제의 풀이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최종 출력값은 방의 호수를 나타내는데 이걸 처리하는게 꽤 까다로웠던 기억이 있다.
이 문제를 풀다보면 층수 4, 호수 2를 얻어 최종 방 호수가 402의 출력을 만들어야 하는 순간이 온다. 0을 끼워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막상 코드로 옮기려니 꽤 번거롭다. 그러나 파이썬의 내장함수를 이용한다면 정말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다.
# zfill
num = "123"
print(num.zfill(3))
print(num.zfill(4))
print(num.zfill(6))
str.zfill("확장할 문자열 길이")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ZeroFill의 줄임말 같다. 즉 현재 문자열 길이가 3이고 zfill(4)를 사용한다면, 문자열이 4로 확장되고 왼쪽에서 부터 빈곳은 0으로 채워진다.
# rjust
num = "123"
print(num.rjust(3,"🔥"))
print(num.rjust(4,"🔥"))
print(num.rjust(5,"0"))
rjust("확장할 문자열", "채워넣을 문자")의 형식으로 사용한다. R의 의미는 현재 문자열을 오른쪽에다가 두고(정렬)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간다.
# ljust
num = "123"
print(num.ljust(3,"🔥"))
print(num.ljust(4,"🔥"))
print(num.ljust(5,"0"))
rjust("확장할 문자열", "채워넣을 문자")의 형식으로 사용한다. L의 의미는 현재 문자열을 왼쪽에다가 두고(정렬)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간다.
rjust와 ljust는 현재 존재하는 문자열을 어디에 정렬할지를 알려주는 키워드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문제에서 응용
그러나 이 내장함수들은 string에서만 동작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환과정을 거쳐야 한다.
row = 4
col = 2
# 한층에 10개의 방이 있다면 -> 402호
print(f"{row}{str(col).rjust(2,'0')}")
# 한층에 100개의 방이 있다면 -> 4002호
print(f"{row}{str(col).rjust(3,'0')}")
그러나 문제에서는 한층에 몇개의 방이 있는지는 가변길이이다. 또한 항상 기본값으로 호수는 두자리수를 가져야 한다. 이를 어떻게 풀어서 해결 할 수 있을까?
print(f'{row}{str(col).rjust(len(str(max(w,10))),"0")}')
먼저 필요한 최소 자리수를 max()를 이용해서 구한다. 정수형 숫자의 자릿수를 쉽게 구하기 위해서, 문자열로 변환한다음에 len을 하면 해당 정수의 자릿수가 나온다. 이를 rjust를 활용해서 빈 곳을 0으로 채워놓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max로 10을 줌으로써 기본 두자릿수가 유지되도록 한다.
'•알고리즘(Algorithm ) > 알고리즘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BFS를 이용하여 최단거리를 출력해야할때 with predecesso(프로시져) (0) | 2023.02.02 |
---|---|
[알고리즘] queue 보다는 deque를 사용하자 (1) | 2023.01.28 |
[백준풀때 유용한 파이썬 팁] itertools을 이용해 조합(combinations)과 순열(permutations), 중복순열(product) 사용하기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