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node.js] 노드 기본개념, JS(ES2015+)문법, 노드 기능 알아보기
'Node.js 교과서'라는 책을 통하여 공부. 22.01.06(목) ~ 22.01.08(토)까지 공부한 내용을 기록. 1p ~ 168p #1장 - 노드시작하기 ##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 노드라는 이름말 알던 시절은 아무리 노드를 설명해줘도 노드가 뭔지 정말 몰랐다. 노드는 서버?인가 생각했지만, 공식문서에 의하면 JS런타임으로 소개한다. 엄밀히 말하면 그것을 통하여 서버를 구축한다는 말이었다. 런타임이라는걸 확실히 느낀건, 일단 내가 ###.js파일을 만들고 이걸 실행하려고 했더니, 지금까지는 브라우저 개발자도구나, HTML와 연결 시켜서 사용했었다는걸 알았다. 터미널에서 node ###.js하면 js가 실행된다. ## ..
[Tistory] 글씨 크기 정리
이건 제목1 입니다. 이건 제목2입니다. 이건 제목3 입니다. 이건 본문1 입니다. 이건 본문2 입니다. 이건 본문3 입니다. 이건 제목1 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1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2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3입니다. 이건 제목1 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1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2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3입니다. 이건 제목1 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1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2입니다. 이건 제목1에 본문3입니다. 이건 제목1입니다. 이건 제목1에 제목2입니다. 이건 제목1에 제목3입니다. 이건 제목2입니다. 이건 제목2에 제목3입니다.
[node.js] 공부 시작에 앞서
왜 node.js를 공부하는걸까..? 복학하고 21년을 어찌저찌 이것저것 공부해보려고 시도는 해봤지만 이렇다할 성과는 없었던 것 같다. 학부수업에 지치고, 과제에 치이고... 뭔가 아쉬운 한해가 됐던 것 같다. 요즘은 뭐를 공부해야할지 정말 많은 고민을 했는데 해보고 싶은건 많고 공부할거 찾다가 시간이 다 갈거 같아서.. 일단 뭐라도 하나 시작해보기 위해서! 서점을 몇번 들락거리며 괜찮은 책을 찾았는데, 우연치 않게 'Node.js' 교과서 라는 책을 찾았다. 사실 노드에 관심은 없었지만 책이 깔끔해 보이고 교과서라는 말이 왜인지 모르겠지만 안정감을 주는것 같다. 책만 다 읽으면 마스터 할 수 있을거 같다는...? 그래서 책을 얼른 구입했다! ㅎㅎ node.js 교과서 ( 개정2판 ) 책은 요놈인데.. ..
[Kotlin] 코틀린, 물음표(?) 느낌표(!!)는 무엇일까? 간단 사용법
이번학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코틀린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사실 자바만 써봤고 코틀린을 처음 쓰는 언어인데 자바스크립트이랑 비슷한 느낌인 언어같아서 그냥 사용법 한번 쓱 읽고 개발하는데 자꾸 변수에서 빨간줄이 그어져서 뭔지 찾아 봤다. 코틀린은 null을 조금 예민하게 다룬다고 한다, null을 예민하게 다뤄서인지 자바에서의 null exception 이슈에 대해 자유롭다고 하는데 ?와 !!을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간단하게 알아 보도록 하겠다. // '?' 간단 사용 val myString : String = null //error val myString : String? = null //not error // '!' 간단 사용 myObject.name myObject!!.name "?" 사용법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Execution failed for task ':app:kaptDebugKotlin'.에러 해결
현재 M1 맥북프로를 사용중에 있다. 해당 이슈 또한 맥북 M1에서 발생하는 것 같다. 에러발생 Execution failed for task ':app:kaptDebugKotlin'. > A failure occurred while executing org.jetbrains.kotlin.gradle.internal.KaptWithoutKotlincTask$KaptExecutionWorkAction > java.lang.reflect.InvocationTargetException (no error message) *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
[GitHub] 깃허브 데스크탑에서 로컬폴더를 원격레포지토리로 만들기
※ 맥OS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깃허브 데스크탑 개발을 하면서 깃허브 데스크탑을 많이들 사용하고 있을거다. 물론 CLI 환경이나 다른 GUI 툴을 사용하는 개발자들도 있겠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깃허브 데스크탑에서 이미 존재하는 로컬작업물을 레포지토리에 올리는 방법을 메모하려한다. 사실 이 방법을 몰라서 몇번이고 깃과 깃허브데스크탑에서 레포지토리를 지웠다가 다시 만들고 지웠다가 다시만드는 삽질을 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한다. 방법 먼저 깃허브 데스크탑을 실행하여 Create New Repository 을 클릭한다. Add Existing Repository가 아니다. - Name에는 원격저장소(GitHub)에 올릴 폴더의 이름을 적는다. ex) myProject - Local Path에는 현재 올릴 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