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회고] 멋쟁이사자처럼 보조강사

    [회고] 멋쟁이사자처럼 보조강사

    # 일시 21년 동계 겨울방학 # 장소 및 업무 장소 - 멋쟁이사자처럼 세렝게티(삼성역) 담당 프로젝트 : 멋쟁이 사자처럼 직장인 온앤오프 # 시작 멋쟁이 사저처럼(이하 멋사)에 재직하고 계시는 선배님께서 멋사에서 방학때 할만한 포지션 채용중이라는 말씀에 친구와 함께 신청했었다. 그렇게 자기소개서 쓰고 PM님과 인터뷰면접보고 합격해서 방학동안 멋쟁이 사자처럼 온앤오프라는 교육과정에서 보조강사를 맡게 됐다. # 업무 멋직 온앤오프 과정은 위 템플릿이 모든걸 표현해준다. 현재 직장인이신분들께서 온라인강의를 통해서 공부하시고 현장(오프라인)에 오셔서 팀끼리 프로젝트도 진행하시고 코딩하시면서 모르는게 있으면 우리한테 질문을 하는 방식이다. 오프라인은 디스코드를 통해서 질의를 주시면 답변해드리기도 했다. 직장인분..

    [회고] 한국 장학재단 대학생 멘토링

    [회고] 한국 장학재단 대학생 멘토링

    # 기간 21년도 동계방학, 한국장학재단 주관 대학생 멘토링 # 대상 울산경의고등학교 # 시작 동아리 단톡방에 장학재단에서 멘토링을 한다는 공고가 올라와서 동아리 인원들과 팀 매칭하여 후딱 신청했다. 이 시기에 멋쟁이사자처럼에서 보조강사일을 저녁에 했었는데 한주간 병행해야해서 정말 힘들었다. 아침에 헬스갔다가 봉사하고 저녁에 출근했다. 아마 가장 바쁘게 살았던 한주였던것 같다. 사실 내가 고등학생때 중앙대 체대+유아교육과 분들이 오셔서 똑같은 캠프에 멘티로 참여했는데 그때 상당히 재밌게 참여도 했고 멘토분들도 상당히 재밌어 보였다. 그래서 그때의 기억이 계속 되살아 나기도 했다. 24시간을 적절히 분배해서 한주의 프로그램을 팀원들과 기획했다. 코로나가 한창 심할때라 당연히 비대면으로 진행됐고 사전OT부터..

    [회고] 비대면 술자리 플랫폼 "노가리" (WINK X STACK)

    [회고] 비대면 술자리 플랫폼 "노가리" (WINK X STACK)

    # 기간 2021년 1학기~ 여름방학 # 시작하며 군 복학을 마치고 학교로 돌아왔을때 뭔가를 해야겠다는 불안감과 더불어 내가 뭘해야하는지도 몰랐다. 그래서 일단 할 수 있는건 다 해보자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WINK"라는 과동아리에서 조형대분들과 협업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복학 직후라서 그런지 요즘 최신기술의 트랜드도 잘 몰랐고, 또 지금과 같은 개발지식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팀내에서 주도적인 위치에있기 보다는 팀장(PM)이 할당해주는 TASK를 성실히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학기와 병행하려니 정말정말 힘들었지만 비대면이었기에 프로젝트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 할 수 있지 않았나 싶었다. # 프로젝트 개요 ## 주제 선정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주제'는 ..

    [디자인 패턴] 스테이트 패턴(State Pattern)

    [디자인 패턴] 스테이트 패턴(State Pattern)

    # 설명 State pattern은 객체의 상태에 따라서 행동이 정해진다고 가정했을때, 상태를 객체 자체에서 체크(if-else구문)하여 행동을 정하는 것이 아닌, 상태를 객체화하여 필요에 따라서 다르게 행동하도록 행동을 위임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클래스 전반에서 모든 기능이 상태에 의존적으로 행동된다면, 상태를 분리하여 클래스로써 작용 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 유용하다. ## Context 운영체제에서도 등장했던 Context의 개념과 유사하다. 어떠한 상태를 쥐고 있는 객체이다. 이 객체의 상태가 변화함에 따라서, 다른 행위를 하게 될 것이다. ## State 인터페이스로써, 컨텍스트는 이 State에 구현된 handle(행위)를 호출함에 따라서, ConcreteState(구현된상태)에 따른 행위가 적..

    [인공지능#5/09-28] 선형대수(벡터,행렬,분해,놈,선형결합..)

    [인공지능#5/09-28] 선형대수(벡터,행렬,분해,놈,선형결합..)

    [인공지능#4/09-21] 학습모델(검증, k-교차검증)선택, 규제(데이터 증대, 가중치 패널티), 인공지능 [인공지능#3/09-19] 기계학습 훈련과정, 오버피팅(overfitting)과 언더피팅(underfitting), 편향(bias)과 변 [인공지능#2/09-14] 특징공간, 차원의 저주, 기계학습의 전반적 개요 및 목적함수의 의미와 훈련과 [ devforyou.tistory.com 본 포스팅은 2022-09-28(수), 국민대학교 이재구 교수님의 인공지능 수업을 통해 배운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하는 게시글입니다. # 선형대수와 인공지능 선형대수를 통해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고,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배경을 제공해준다. 수 -> 벡터 -> 행렬 -> 텐서와 같이 차원이 확장됨에따라 형태가 나..

    [디자인패턴]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디자인패턴]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 설명 어댑터 패턴의 주요 개념은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중간에서 연결해주어 규격을 맞추어주는 것. 즉,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것을 어댑터로 하여금 중간 매개체로 연결을 시켜주는 것이다. 안드로이드를 공부하다보면 리사이클러뷰를 구성할때 어댑터를 사용해야 했다. 영문도 모르고 사용했지만, 거기서 어댑터는 View와 데이터 사이를 중간 어댑터에서 관리를 도맡아 주는 역할을 했다. 어댑터 패턴을 사용하면 이미 사용중이거나 정의된 인터페이스들을 중간(어댑터)에서 매개체의 역할로써 사용하여, 이미 사용중인 클래스를 수정하지 않고 사용하게 해준다. 디자인패턴의 5가지 원칙 OCP원칙을 충족시킨다. Warrior 예제를 보면 어떤것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댑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